[2023.06.20 작성]

02. Spring Tool Suite 3 wiki [클릭]

03. Spring Tool Suite 3.9... 최신 버전 압축 다운로드 및 압축 해제

C드라이브에 압축파일을 잘라서 붙여놓은 다음 압축을 풀어야 에러가 나지 않는다.

jdk 8버전은 사용불가
jdk 11버전, 이클립스 최신버전, 톰캣을 새로 설치한다.
이클립스 설치 중 창 하나가 뜨면 selectAll 체크하고 trust~ 클릭한다.
톰캣 설치시 -1 ->8005로 변경 경로는 jdk-11로 변경한다.
설치완료 후 작업표시줄 우측에서 톰캣아이콘을 우클릭하여 톰캣서비스를 중지한다.
이클립스를 실행시켜 상단 window -> preferences -> server ->Runtime Environment에서 add를 클릭하고 톰캣 9버전 연결한다.
하단의 server 클릭하고 영어 클릭하여 톰캣을 연동한다.
이클립스를 종료하고 sts를 실행한다.
내컴퓨터 c드라이브에 spring 폴더를 생성한다.
이클립스와 동일한 방법으로 톰캣을 연결한다.
<프로젝트 생성>
01. File > New > Spring Legacy Project 클릭

02.
Project name : ex00
Templates : Spring MVC Project 선택

03. 패키지 명 : org.zerock.controller 입력 > [Finish] 클릭
※패키지이름은 도메인으로 작성한다.(ex>com.naver.controller)

프로젝트 Properties 설정 ( jdk 11 매칭 )
◎ 프로젝트명 - 우 클릭

① Java Compiler

※ use~ 체크해제해야 변경가능하다.
② Project Facets

Spring 프레임워크 버전 변경 - pom.xml
<properties>
<java-version>1.6</java-version>
<org.springframework-version>3.1.1.RELEASE</org.springframework-version>
<org.aspectj-version>1.6.10</org.aspectj-version>
<org.slf4j-version>1.6.6</org.slf4j-version>
</properties>
<plugin>
<groupId>org.apache.maven.plugins</groupId>
<artifactId>maven-compiler-plugin</artifactId>
<version>2.5.1</version>
<configuration>
<source>1.6</source>
<target>1.6</target>
<compilerArgument>-Xlint:all</compilerArgument>
<showWarnings>true</showWarnings>
<showDeprecation>true</showDeprecation>
</configuration>
</plugin>
1. 위의 코드를 아래와 같이 수정
<properties>
<java-version>11</java-version>
<org.springframework-version>5.0.7.RELEASE</org.springframework-version>
<org.aspectj-version>1.6.10</org.aspectj-version>
<org.slf4j-version>1.6.6</org.slf4j-version>
</properties>
<plugin>
<groupId>org.apache.maven.plugins</groupId>
<artifactId>maven-compiler-plugin</artifactId>
<version>3.5.1</version>
<configuration>
<source>11</source>
<target>11</target>
<compilerArgument>-Xlint:all</compilerArgument>
<showWarnings>true</showWarnings>
<showDeprecation>true</showDeprecation>
</configuration>
</plugin>
Run/Debug 설정 변경

경고창에 생긴 경로대로 들어가서 변경하면 된다.
Mysql 연동 ( pom.xml 추가 )
①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mysql/mysql-connector-java
② Mysql 설치 버전 클릭
③ <dependency> 태그 복사
④ pom.xml 추가
<!--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mysql/mysql-connector-java -->
<dependency>
<groupId>mysql</groupId>
<artifactId>mysql-connector-java</artifactId>
<version>8.0.32</version>
</dependency>
JUnit 4 버전 수정 및 추가
pom.xml 수정
<dependency>
<groupId>junit</groupId>
<artifactId>junit</artifactId>
<version>4.13.2</version>
<scope>test</scope>
</dependency>
● JUnit 4 - Add Library... 이용해서 추가

Lombok (롬복) 설치하기
스프링 플러그인 만으로도 스프링 개발은 가능하지만,
Lombok을 이용하면 Java 개발 시 자주 사용하는 getter/setter, toString(), 생성자 등을 자동으로생성해주므로 약간의 코드만으로도 필요한 클래스를 설계할 때 유용하다.
Lombok은 다른 jar 파일들과 달리 프로젝트의 코드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STS 에디터 내에서도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로 설치한다.
01 Lombok 다운로드 사이트 : https://projectlombok.org 접속
02 페이지 상단 메뉴 > Download 클릭 > 다운로드
03 다운로드 파일 실행 > Specify location... 클릭 (경로 매칭) > Install / Update 클릭

04 STS 실행파일 경로(폴더)에 lombok.jar 파일 생성 확인

05 pom.xml - dependency 추가
<!--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org.projectlombok/lombok -->
<dependency>
<groupId>org.projectlombok</groupId>
<artifactId>lombok</artifactId>
<version>1.18.26</version>
<scope>provided</scope>
</dependency>
06 STS 재실행
Mybatis 연동 - pom.xml ( 라이브러리 4개 코드 추가 )
pom.xml > 라이브러리 4개 코드 추가
<!--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org.mybatis/mybatis -->
<dependency>
<groupId>org.mybatis</groupId>
<artifactId>mybatis</artifactId>
<version>3.4.6</version>
</dependency>
<!--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org.mybatis/mybatis-spring -->
<dependency>
<groupId>org.mybatis</groupId>
<artifactId>mybatis-spring</artifactId>
<version>1.3.2</version>
</dependency>
<!--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org.springframework/spring-jdbc -->
<dependency>
<groupId>org.springframework</groupId>
<artifactId>spring-jdbc</artifactId>
<version>${org.springframework-version}</version>
</dependency>
<dependency>
<groupId>org.springframework</groupId>
<artifactId>spring-test</artifactId>
<version>${org.springframework-version}</version>
</dependency>
<!-- 설명 -->
== 전통적인 JDBC 프로그램 ==
- 직접 Connection을 맺고 마지막에 close()
- PreparedStatement 직접 생성 및 처리
- PreparedStatement 의 setXXX() 등에 대한 모든 작업을 개발자가 처리
- SELECT 의 경우 직접 RestulSet 처리
== MyBatis 장점 ==
- 통상 SQL Mapper 라이브러리이다.
- 자동으로 Connection close() 처리
- 내부적으로 PreparedStatement 처리
- 리턴 타입을 지정하는 경우 자동으로 객체 생성 및 RestulSet 처리
Mysql 연결 담당 - DataSource 설정 ( root-context.xml - Namespaces 수정 )
① 4가지 항목 체크 확인

② source 탭 선택후 아래 코드 삽입 ,저장 -> 위의 항목 체크하면 코드가 자동으로 삽입됨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beans xmlns="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beans"
xmlns:xsi="http://www.w3.org/2001/XMLSchema-instance"
xmlns:context="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context"
xmlns:jdbc="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jdbc"
xmlns:mybatis-spring="http://mybatis.org/schema/mybatis-spring"
xsi:schemaLocation="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jdbc 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jdbc/spring-jdbc-4.3.xsd
http://mybatis.org/schema/mybatis-spring http://mybatis.org/schema/mybatis-spring-1.2.xsd
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beans https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beans/spring-beans.xsd
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context 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context/spring-context-4.3.xsd">
<!-- Root Context: defines shared resources visible to all other web components -->
<bean id="dataSource" class="org.springframework.jdbc.datasource.DriverManagerDataSource">
<property name="driverClassName" value="com.mysql.jdbc.Driver"></property>
<property name="url" value="jdbc:mysql://localhost:3306/spring"></property>
<property name="username" value="root"></property>
<property name="password" value="1111"></property>
</bean>
==== 설명 ====
스프링과 MyBatis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스프링의 설정으로 JDBC 연결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.
DataSource는 JDBC의 커넥션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작업에 반드시 필요하다.
Mybatis 연결 ( root-context.xml 추가 )
<!-- 추가 구문 -->
<bean id="sqlSessionFactory" class="org.mybatis.spring.SqlSessionFactoryBean">
<property name="dataSource" ref="dataSource"></property>
</bean>
//Mybatis 와 Mysql 연동 작업
//Mybatis 와 스프링 연동 작업에서의 핵심은 Connecton을 생성하고, 처리하는 SQLSessionFactroy의 존재
//SQLSessionFactroy는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과 SQL의 실행에 대한 모든 것을 가진 가장 중요한 객체
//스프링을 이용할 때는 SQLSessionFactroy를 생성해 주는 특별한 객체를 설정해 주는데 SqlSessionFactoryBean 클래스 사용
//추가설명
// MyBatis 에서 가장 핵심적인 객체는 SQLSession 이라는 존재와 SQLSessionFactroy 이다.
// SQLSessionFactroy 의 이름에서 보듯이 내부적으로 SQLSession 이라는 것을 만들어 내는 존재.
// SQLSession 을 통해서 Connection 을 생성하거나 원하는 SQL 을 전달하고, 결과를 리턴 받는 구조로 작성한다.
// 패키지명을 보면 MyBatis 의 패키지가 아니라 스프링과 연동 작업을 처리하는 mybatis.spring 라이브러리의 클래스임을 알 수 있다.
mybatis-config.xml 생성
. 프로젝트 > src/main/resources > mybatis-config.xml 생성

. 이래 코드 수정,추가 후 저장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!DOCTYPE configuration
PUBLIC "-//mybatis.org//DTD Config 3.0//En"
"http://mybatis.org/dtd/mybatis-3-config.dtd">
<configuration>
</configuration>
== 설명 ==
Mybatis는 SQL, Mapping 프레임워크로 별도의 설정 파일을 가질 수 있다.
이를 이용하면 스프링의 설정과 별도로 사용하는 모든 Mybatis의 설정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.
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나중을 위해서라도 Mybatis의 설정 파일을 하나 추가해 주는 것이 편리하다.
root-context.xml 수정
<bean id="sqlSessionFactory" class="org.mybatis.spring.SqlSessionFactoryBean">
<property name="dataSource" ref="dataSource"></property>
<property name="configLocation" value="classpath:/mybatis-config.xml"></property>
</bean>
// 추가 한다.
// 스프링이 동작할 때 mybatis-config.xml 파일이 같이 동작하도록 설정해 주는 작업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