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이산수학] 부울대수

728x90

1. 논리게이트

1) 기본 논리게이트

1] AND 게이트

etc-image-0

2] OR 게이트

etc-image-1

3] NOT 게이트

etc-image-2

2) 응용 논리게이트

1] NAND 게이트

etc-image-3

2] NOR 게이트

etc-image-4

3] XOR 게이트

etc-image-5

4] XNOR 게이트

etc-image-6

2. 부울대수

1) 부울식

부울식 다음과 같이 순환적으로 정의합니다.

etc-image-7

2) 부울대수의 기본정리

etc-image-8

 

etc-image-9

쌍대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나옵니다.

 

앞선 글에서 이산수학 논리부분과도 연결되는 부분이 있습니다.

 

논리에 대한 글은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
[이산수학] 논리 (tistory.com)

 

[이산수학] 논리

1. 명제참과 거짓을 구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수학적 식을 명제라고합니다. 즉 주관적인 값이 아닌 객관적인 값이 명제가 됩니다.명제가 타당한 경우 참 또는 T(True)라고 하고 명제가 타당하지 않

zero-week.tistory.com

 

etc-image-10

위에서 앞부분이 논리이고 뒷부분이 부울대수입니다.

 

이를 부울대수에 기본정리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
etc-image-11
etc-image-12
etc-image-13
etc-image-14
etc-image-15

3) 쌍대성원리와 보수

부울식에서 논리곱과 논리합을 서로 바꾸고 논리상수 0과 1을 서로 바꾸면 원래 부울식의 쌍대를 얻게됩니다.

이때 주어진 부울식과 그것의 쌍대는 진리값이 서로 같다는 것이 쌍대성원리입니다.

1] 드 모르간의 일반화

etc-image-16

2] 보수 구하기

etc-image-17

 

보수를 구할때는 아래의 두가지 방식을 이용합니다.

etc-image-18

 

예제1) 드모르간의 법칙을 이용한 보수 구하

etc-image-19

예제2) 쌍대성 원리 이용하여 보수 구하

etc-image-20

4) 간소화

etc-image-21

 

위 두가지 회로도는 같은 기능을 하는 회로도입니다. 그런데 왼쪽은 매우 복잡하고 오른쪽은 훨씬 간단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즉 간소화를 하는 이유는 복잡한 회로를 간단하게 만들어서 회로를 지나갈때마다 발생하는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처리속도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1] 항결합

항결합은 두개의 항을 결합하여 하나의 항으로 만드는 방법입니다.

예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etc-image-22

2] 문자 소거

문자소거는 중복된 문자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.

예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etc-image-23

3] 중복항 첨가

부울함수의 진리값이 변하지 않도록 하면서 간소화를 위한 적절한 항을 첨가하는 방법입니다.

예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etc-image-24

'CS(Computer Science) 이론 > 이산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이산수학] 그래프  (0) 2024.05.22
[이산수학] 함수  (0) 2024.05.06
[이산수학] 관계  (0) 2024.05.05
[이산수학] 행렬  (0) 2024.05.05
[이산수학] 집합론  (0) 2024.05.01